Itaewon House




Itaewon House


Period : 2023.09 - 2024.01
Team : SeungBum Ma, Minji Kim
Lighting Design : Studio Formgiver, Jiyoon Park
Construction : Artwork, Now & Here co. Ltd., JunBum Kwon (작품 오늘)


This house's designs aim to enhance the meaning and sensuality of daily life and moments. Capturing changes in time, seasons, and weather sensitively and allowing a person to immerse oneself in that fleeting, beautiful experience, even if only for a moment, is a valuable value that only architecture can provide for people.
이 집의 모든 디자인은 일상과 순간을 보다 다채롭고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시간과 계절, 날씨의 변화를 민감하게 담아내어 그 찰나의 아름다운 경험에 잠시나마 몰두하게 하는 것, 이것은 건축만이 사람을 위해 할 수 있는 소중한 가치일 것이다.




Foyer

Photo by Kiwoong Hong

The foyer is the first place a person faces when entering a house. The place is intended to create an atmosphere like a person has entered a new world. The place was designed to be an area that covers and protects private areas. 

Wood grains rise vertically, horizontal stone patterns quietly sway, and the metal surface gently reflects the entrance scene like a quiet lake. When you open the middle door, you are greeted by a painting by artist Chae Ji-min. Artist Chae created this painting a long time ago while thinking of my wife and me, and it has finally found its place.

+
White oak panels are the walls and doors of the shoe cabinet and pantry. For the floor, a cocoa-colored travertine was selected with a tone that matches the white oak and retains the texture of the ground. The stainless steel ceiling with appropriate reflectivity captures the entrance scene and conveys a deeper sense of space than it is. To create the scene flawlessly, the maximum metal panel with folded corners size was calculated to avoid joint lines. Light hidden in the ceiling reflects, scatters, and flows down the wall at a comfortable illumination level.

현관은 집에 들어서서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장소다. 마치 새로운 세계에 온 듯한 분위기를 만들고 싶었고, 사적 영역을 가리고 보호하는 영역을 의도했다.

수직으로 상승하는 나뭇결, 조용히 요동하는 수평의 돌무늬, 고요한 호수처럼 현관의 장면을 은은하게 반사하는 금속의 표면.

중문을 열면 채지민 작가의 그림이 맞이해준다. 이 그림은 채작가가 우리 부부를 생각하며 오래 전에 작업하였는데, 드디어 자신의 자리를 찾았다.

+
화이트 오크 패널들은 벽이자 신발장과 팬트리의 문이다. 바닥은 벽면과 어울리는 톤을 지니되, 땅의 질감을 간직한 코코아색의 트레버틴을 선택했다. 마음에 드는 색상과 패턴을 찾기 위해 석재 공장의 곳곳을 뒤졌고, 구석에 숨어있던 하나의 판재를 나누어 시공했다. 적절한 반사율을 지닌 스테인리스 스틸천장은 현관의 장면을 담아내며 실제보다 깊은 공간감을 전달한다. 이 장면을 온전하게 담기 위해서, 줄눈을 두지 않고자 금속 패널이 허락하는 최대 사이즈를 접어서 만들었다. 천장에 숨겨진 조명은 반사되고 산란되어 편안한 조도로 벽체를 타고 흘러내린다.



Kitchen
(Collaboration with VOBIA)

Photo by Kiwoong Hong

Photo by Ungdon Kim (VOBIA)

Photo by Jihyun Jung

Previously, the kitchen was divided into a main kitchen with a small island and a service kitchen next to a window hidden by a wall. To make the kitchen into one space, we removed a wall and completely changed the layout so that we could cook while looking out the window. A large island was placed in the center to allow access from all directions. A kitchen design that would beautifully complete this layout was needed. I wanted a differentiated presence that would not be swayed by trends.


After visiting many places, the Gravitò designed by VOBIA was selected. It was a model that had not been built in South Korea then, and its heavy yet simple design language captivated us at first sight. I liked the beautiful sense of proportion and the unique design with protruding panels. 

Every effort was made to make the Gravitò design the main character. First, the background was cleared. Neither the refrigerator nor the storage space was made to be visible. The entrance/pantry volume facing the kitchen and the closet in front of the room was already designed as a mass made of white oak veneer. So, the refrigerator and built-in cabinets were finished in white, and the handles were designed in a way that the vertical joints stood out to create a consistent atmosphere with the other walls. For the area around the window where cooking takes place, we chose DuPont Corian, which is easy to clean and maintain while allowing light to pass through and retain gently. 

Lastly, the lighting does not protrude, so its presence is normally understated, but when lit, it makes the surface of the island look like the surface of a lake covered in thin ice in winter.
본래 이곳은 작은 아일랜드가 있는 본 주방과 벽으로 가려진 창가의 서비스 주방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우리는 주방을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벽체를 철거하고, 창밖을 바라보며 요리할 수 있도록 배치를 완전히 바꿨다. 중앙에는 큰 아일랜드를 두어서 사방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레이아웃을 아름답게 완성해줄 키친 디자인이 필요했다.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차별화된 존재감을 원했다.

많은 곳들을 방문한 후, 보비아(VOBIA)에서 그라비토(Gravitò)를 선택했다. 당시에는 국내에 시공되지 않은 모델이었는데, 묵직하면서도 간결한 디자인 언어가 첫눈에 우리를 사로잡았다. 아름다운 비례감과 패널이 돌출된 특이한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다.

그라비토 디자인을 주인공으로 만들어주기 위해서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배경을 정리했다. 냉장고나 수납공간 모두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도록 했다. 주방과 마주한 현관/팬트리 볼륨, 그리고 방 앞의 옷장은 이미 화이트오크 무늬목으로 만들어진 매스로 디자인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냉장고와 붙박이장들은 백색으로 마무리하고, 다른 벽면과 일관된 분위기를 위해 세로 줄눈이 부각되는 방식으로 손잡이를 디자인했다. 요리가 이루어지는 창문 주변에는 청소나 유지관리가 쉬우면서도, 빛을 은은하게 투과하고 머금는 듀폰 코리안을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조명은 돌출되지 않아 평소에는 그 존재감을 절제하다가, 불이 켜지면 마치 아일랜드의 표면을 겨울철 살얼음이 낀 호수의 표면처럼 만들어준다. 


Bedroom

Photo by Kiwoong Hong, SeungBum Ma

The bedroom is a place wher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day are contained. The room that was originally a dressing room was turned into a bedroom.

The ceiling was finished with white oak to create a warm atmosphere. To give a sense of openness to a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room, a glass block was placed at the top of the wall toward the hallway. Glass blocks gently transmit light and add spatial depth to both the room and the kitchen. Furthermore, the corner wall was cut out and treated with glass to create a visual connection to the next room.


The bed frame was also designed to fit the size of this room. I wanted to bring out the thick and heavy texture of the wood. All elements that needed to be stored were hidden in square drawers, and only Charlotte Perriand's Pivotong wall light was placed. All the wires and outlets are hidden in the drawer, and the holes for the wires to come out of were provided. The east-facing window illuminates the bedroom with warm light every morning.
침실은 하루의 마지막과 시작을 담아내는 곳이다. 원래 드레스룸이었던 방을 침실로 만들었다.

우선 따뜻한 분위기를 위해 천장을 화이트 오크로 마감했다. 상대적으로 좁은 방에 개방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복도쪽 벽 상부에 글라스블럭을 두었다. 글라스블럭은 빛을 은은하게 투과하고 방과 주방 모두에 공간적인 깊이감을 더한다. 나아가 옆방과 시각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코너 벽을 잘라내고 유리로 처리했다.

침대 프레임 또한 이 방의 사이즈에 맞게 디자인했다. 두께감있고 무게감있는 원목의 질감을 살리고 싶었다. 수납되어야 하는 요소들은 네모난 서랍에 모두 숨기고, 샬롯 페리앙의 피보텅 벽조명만 두었다. 전선과 콘센트 등도 모두 이 상자에 숨기고 전선이 나오는 구멍도 디자인했다. 동향으로 난 창문은 아침마다 따뜻한 빛으로 침실을 밝혀준다.




Small Office

Photo by Kiwoong Hong, SeungBum Ma

The small office was designed with the same concept as the bedroom. The warm oak ceiling continues, and glass blocks are placed in the hallway to add to the openness of the room. The wall at the corner was cut out to add enjoyment to the space. The original storage cabinet was used as is, and a ledge was created in front of the window so that plants and pictures could be placed there. Ingo Maurer lighting adds lightness and playfulness to the space.
작은 작업실은 침실과 동일한 컨셉으로 디자인되었다. 따뜻한 참나무 천장이 시원하게 이어지고, 복도 방향으로는 글라스블럭을 두어 방의 개방감을 더하며, 코너의 벽체를 잘라내어 공간에 즐거움을 더했다. 원래 있던 수납장을 그대로 활용하였고, 창문 앞에는 턱을 만들어서 식물과 그림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였다. 잉고 마우러 조명은 공간에 경쾌함과 장난스러움을 더한다.



Corridor

Photo by Kiwoong Hong, SeungBum Ma

The corridor is composed of a tall white cabinet volume and a low white oak cabinet volume. The white storage volume was created to surround the original column, dividing the space into a public hallway toward the entrance and a private hallway on the other side. Towards the entrance, it becomes a large blank wall where a painting is placed, and on the other side, it becomes a storage closet for clothes and miscellaneous items. An intercom and a switch were placed in the kitchen, and a case that matched the size of the product was custom-designed, and aligned with the size of the switch to improve completeness. 

The white oak cabinet in front of the room was lowered in height to allow soft natural light to flow through the glass block. Indirect lighting was placed on the top of the cabinet so the glass block glows beautifully at night.

복도는 하얀색의 키큰 수납장 볼륨과 낮은 화이트 오크 수납장 볼륨으로 구성된다. 하얀색 수납장 볼륨은 원래 있던 기둥을 감싸며 만들어졌고, 공간을 현관쪽의 공적인 복도와 반대쪽의 사적인 복도로 분할한다. 현관 방향으로는 그림을 걸 수 있는 커다란 벽이 되고, 반대편에서는 옷과 잡동사니들의 수납장이 된다. 주방쪽으로는 인터폰과 스위치를 두었는데, 제품 사이즈에 맞는 케이스를 커스텀 디자인하여 제작하고, 스위치의 사이즈와 정렬시켜 완성도를 높였다.

방 앞의 화이트 오크 수납장은 높이를 낮추어 글라스 블럭을 통해 은은한 자연광이 오갈 수 있도록 하였다. 수납장 상부에 간접등을 두어 밤에는 글라스 블럭이 아름답게 빛나도록 하였다.



Bathroom

Photo by Kiwoong Hong


The bathroom is finished with tundra gray stone, similar to the surface of the moon. The long stone block of the sink floats, and the block dividing the shower space is intentionally lowered in height, adding depth and three-dimensionality to the space. All stored elements are hidden and covered, making the atmosphere of the space more mysterious.
이곳은 달의 표면과 같은 툰드라 그레이 석재로 마감했다. 세면대의 기다란 돌 덩어리는 부유하고, 샤워공간을 분할하는 덩어리는 의도적으로 높이를 낮추어 공간의 깊이감과 입체감을 더한다. 수납되는 모든 요소들은 숨겨지고 가려져서 공간의 분위기를 보다 신비롭게 만들어준다.




Home Office

Photo by Kiwoong Hong, SeungBum Ma

This room is one of the spaces in the house where I spend the most time. To create a comfortable and warm atmosphere, wood was actively applied to the ceiling and walls. This room originally had a bathroom and a walk-in closet door on both sides, but the bathroom door was blocked, and the circulation was only directed toward the storage closet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ndoor space.

A long desk was placed on the newly created wall to facilitate computer workspace and other work activities, and lighting attached to the wall was install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large monitor. Simple line structures and thin strings in bright mint color cross the space, and round blown glass gently scatters light by grinding the surface.

Art furniture designed by Studio SMA located throughout the room, stores architecture and art books of various sizes. They are modular and stack vertically or expand horizontally. The colors of the structural element give vitality to the space and highlight the presence of the books. Store large, heavy books that do not fit in a ready-made bookshelf lying down to prevent them from bending.
이 방은 집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공간 중 하나다. 편안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천장과 벽에 적극적으로 나무를 적용했다. 이 방은 본래 화장실과 워크인클로짓 문이 양쪽으로 있었는데, 화장실 문을 벽으로 막고 수납장쪽으로만 동선을 두어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였다.

새롭게 만들어진 벽에는 긴 책상을 두어 컴퓨터 작업공간과 다른 작업활동을 용이하게 하였고, 커다란 모니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벽면에 부착되는 조명을 설치했다. 밝은 민트색의 간결한 라인 구조체와 가느다란 스트링이 공간을 가로지르고, 둥글게 불어낸 유리는 표면을 갈아내어 빛을 부드럽게 산란시킨다.

방의 곳곳에 위치한 Op 시리즈들은 다양한 크기의 건축, 예술 서적들을 수납한다. 이들은 모듈화되어 수직적으로 쌓이거나 수평적으로 확장한다. 부재들의 색상은 공간에 활력을 부여하고, 책들의 존재감을 부각시킨다. 기성 책장에는 들어가지 않는 거대하고 무거운 책들을 눕혀서 보관하여 휘지 않도록 한다.




Master Bathroom

Photo by Kiwoong Hong, SeungBum Ma

It is finished with Versilys marble with a pattern reminiscent of the surface of water. The patterns created by various minerals over a long period become beautiful paintings in themselves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a space. When water falls on the floor, it looks as if it overlaps the waves flowing between the rocks in the valley.

Because Versilys is a marble made up of many colors, it was not easy to choose tiles that matched it. After considering various tiles, we found big slab tiles with colors and patterns that matched the Versilys and arranged them horizontally to minimize joints and create a feeling of horizontal expansion.

This place has windows facing east, allowing different morning sunlight depending on the season. To capture the sunlight beautifully, blue bottles that I received as a gift from an acquaintance were placed.
물의 표면을 연상케하는 패턴의 베실리스 석재로 마감했다. 여러 광물이 오랜시간에 걸쳐 만들어낸 패턴은 그 자체가 아름다운 회화가 되어 공간의 분위기를 만든다. 바닥에 물이 떨어지면 마치 계곡의 바위들 사이로 흐르는 물결을 겹쳐보는 듯 하다.

베실리스는 여러 색상으로 이루어진 돌이라서 이와 어울리는 타일을 고르는 것이 쉽지 않았다. 여러 타일을 고민한 결과, 베실리스와 어울리는 색상과 무늬를 머금고 있는 빅 슬랩 타일을 찾았고, 줄눈을 최소화하고 수평적으로 확장되는 느낌을 위해서 가로로 배열했다.

이곳은 동향으로 창문이 있어 계절별로 다른 모습의 아침 햇살을 드리운다. 햇살을 아름답게 담기 위해 지인분께 선물받은 파란색 병들을 두었다.




Living room


Photo by Kiwoong Hong, SeungBum Ma

The living room is where the family spends the most time and is where they stay with visitors. It is largely divided into an area with tables and chairs and an area with sofas and low armchairs.

Here, I wanted to create an atmosphere for the entire space by utilizing the original arrangement of columns and beams. The ceiling was raised as high as possible, but the small beams were hidden, and only the beams connected to the pillars were emphasized, creating the appearance of trees growing from the pillars extending in three directions. To emphasize this, white oak was applied to the columns and beams, and a joint was placed in the middle to segment the excessive thickness. These elements naturally frame the view outside the window and separate the table and sofa areas. The beam in front of the window also serves to hide the blinds and lights.

Above the table (Op. 7), lighting consisting of black lines and white curved surfaces was placed to create a cheerful yet elegant atmosphere. Because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tables, lights, and chairs were decided at the interior design stage, they create a complete atmosphere even though they were installed at different times.


The white oak volume of the entrance continues here and becomes a storage cabinet. An unusual metal passes through the top of this volume. This element is made of extruded aluminum, and its folded and curved surface reflects light at various angles, creating a mysterious and secret atmosphere in the living room. After sunset, it is illuminated and glows silver.

The original terrace had rusty, gaudy-looking railings, and the deck and ceiling materials had been damaged over the years. To ensure the completeness and safety of the space, complete demolition was carried out.

The design extends the living room's warm wooden materials to the outdoor space. The floor, walls, and ceiling finishing materials are all made of heat-treated wood (carbonized wood) so that it can be read as an independent area. The height of the ceiling was lowered to create a single plane with no irregularities, and an air layer above prevents mold issues. This material gradually changes to gray as it receives natural light, capturing changes over time, and on rainy days, it exudes a subtle woody scent, making it refreshing. The railing maximizes the openness of the interior space by making its presence disappear as much as possible.
거실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기도 하고, 방문하는 이들과 머무르는 장소다. 크게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진 영역과 소파와 낮은 안락의자가 있는 곳으로 구분된다.

이곳은 원래 있던 기둥과 보의 배열을 활용해 전체 공간의 분위기를 만들고 싶었다. 천장을 최대한 높이되 작은 보들은 숨기고 기둥과 이어지는 보만 강조하여 마치 기둥에서 자라난 나무가 세 가지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모습을 만들었다. 이를 강조하기 위해 기둥과 보에 화이트 오크를 적용하였고, 중간에는 줄눈을 두어 너무 과한 두께감을 분절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자연스레 창 밖의 풍경을 프레임짓고, 테이블과 소파 영역을 구분한다. 창문 앞의 보는 블라인드와 조명을 숨기는 역할을 겸한다.

테이블(Op.7) 위에는 검정색의 라인과 흰색의 곡면으로 구성된 조명을 두어 경쾌하면서도 우아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테이블과 조명, 의자는 인테리어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위치와 사이즈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비록 설치된 시기는 다르지만 하나의 완결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현관의 무늬목 볼륨은 이곳에서도 이어지고 수납장이 된다. 이 볼륨의 상부에는 특이한 금속이 지나간다. 이 요소는 알루미늄을 사출해서 만들어졌는데, 접혀지고 굴곡진 표면은 다양한 각도로 빛을 반사해서 거실에 신비하고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형성한다. 해질녘 이후에는 조명을 받아 은빛으로 발광한다.

본래 테라스에는 녹이 슬고 요란하게 생긴 난간이 있었고, 데크와 천장재들도 오랜 세월에 걸쳐 훼손되어 있었다. 공간의 완성도와 안전을 위해 전면 철거를 진행했다.

디자인은 거실의 따뜻한 나무 재료를 외부공간으로 연장하되, 독립된 하나의 영역으로 읽힐 수 있도록 바닥, 벽, 천장 마감재 모두를 열처리 목재(탄화목)로 만들었다. 천장은 요철이 없는 하나의 평면이 될 수 있도록 높이를 낮추었고, 위에 공기층을 지녀 곰팡이 이슈를 예방한다. 이 재료는 자연광을 받으면서 점점 회색으로 변화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담아내며, 비가 오는 날에는 은은한 나무향을 풍겨 상큼하다. 난간은 최대한 그 존재감을 사라지게 하여 실내공간의 개방감을 극대화한다.





© Studio SMA All rights reserved
info@studiosma.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