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ed Perspectives

Flat Architectural Images Embodying Substantial Scale and Depth







Focus New York 2023

May 18 -21, 2023
Chelsea Industrial, NYC

Collaboration with Artist Joonhong Min




Design Process



Constructed Perspectives

Period : 2023.02 - 2022.07
Design Team: SeungBum Ma, Eunbi Kim, Hyevin Park, Euijung Sung



The “Constructed Perspectives” series reconstructs specific spatial experiences from ordinary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into more dramatic spectacles.

Studio SMA intended to expand the meaning of works by artist Joonhong Min and to convert exhibition space into a more absorbing environment while having a conceptual dialogue with his works.

People in Joonhong Min’s painting have various architectural facades as their heads are constructed in different ways. The facades are dramatically distorted and fragmented with multiple vanishing points, while their bodies have a stable vanishing point. Since a prerequisite of the vanishing point is the existence of the beholder, numerous vanishing points seem to portray today’s problematic condition; images of one object are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identified differently by diverse media’s specific points of view, and, eventually, they are exhibited on flat screens. However, the vanishing point shifts and disappears as the spectator moves.

Aren’t there numerous images we encounter every moment that has unveiled various intentions and stories? What if perspectival images, constantly transformed by the position of observers were installed with Min’s work and initiated spatial dialog? The contours of architectural images are distorted and cropped in order to create a perfect geometry at specific locations.

The results are just thin flat printed sheets of paper. Nevertheless, each architectural scene is a still shot of three-dimensional space with enormous size and depth. Individual space is sophisticatedly constructed by a perspectival rule, meanwhile, formal elements of the space are structured by a distinct autonomous logic that is irrelevant to the perspectival rule. There are inconspicuous misalignments between the printed flat image and the depth and complexity behind it. And the printed outcome subtly vibrates by the location of the beholder. Thus, these works are essentially distinguished by graphical pattern illustrations. They are ready to be realized as physical three-dimensional objects.

The printed images are transformed and distorted once again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They are basically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periphery of the exhibition space. Visitors walk around and repeatedly sit and stand to find one’s comfortable composition and imagine entering the virtual space of the images. Individual interrogates and defines the works from one’s own perspective.  

Short rendered videos are produced to betray complexities, depths, and the autonomous formal logic undisclosed from the images. Spectacles of the images expanding and mutating in unpredictable ways deliver unusual spatial experiences.


“Constructed Perspectives”시리즈는 도시와 건축 공간을 소재로 하여, 특정한 공간적 경험을 극적으로 재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번 특히 민준홍 작가의 작업과 공간적으로 대화하면서 그의 작업이 지닌 의미나 독해의 방식을 확장시키고, 전시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보다 몰입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민준홍 작가가 그린 사람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축된 추상적인 파사드를 머리로 지닌다. 이 때, 파사드는 인물의 신체와 어긋나는 여러 개의 소실점을 지니고 극적으로 왜곡되고 파편화되어 있다. 소실점의 존재는 근본적으로 보는 이의 존재를 전제하기에, 다수의 소실점은 오늘날의 문제적 상황- 하나의 대상이 자의에 의하든 타의에 의하든 매체들에 의해 다양하게 재단되고 가공된 후, 수 많은 납작한 화면을 통해 정의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듯 하다. 그런데 소실점은 보는 이가 이동을 시작하면 무너지고 변화하고 사라진다.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수많은 이미지들 또한 드러나지 않은 수 많은 의도와 이야기들이 숨어있지는 않은가? 혹시 대상이 보는 위치에 의해 변화하고 표정을 달리하는 작업을 통해 민작가의 작업과 공간적으로 대화할 수 있지는 않을까? 이번 전시에서는 특정 위치에서만 완결된 기하학으로 보여지되, 보는 이의 위치나 움직임에 의해 다르게 진동하는 장면을 만들고자 하였다.

결과물은 시트지로 출력된 얇고 납작한 평면작업이다. 비록 얇은 종이로 출력되었지만, 각 장면은 사실 엄청난 규모와 깊이를 지니는 입체공간을 찍은 스틸컷이다. 각 공간은 투시도법에 근거하여 섬세하게 구축되었지만, 그 형태는 투시도법과 별개의 자율적인 질서에 의해 만들어졌다. 평평한 결과물과 그 이면에 자리 잡은 깊이감과 복잡성은 묘한 어긋남을 간직한다. 그래서 보는 위치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 표정으로 진동한다. 이 작업은 단순한 그래픽 작업이나 패턴 일러스트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언제든 실물로 구현될 준비가 된 건축적 오브제들이기 때문이다.

이미지들은 3차원의 공간 모서리나 구석에 기이하게 자리 잡는 과정에서 한 번 더 변형되고 왜곡된다. 이로 인해 관람객들은 전시 공간을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며 나름의 구도를 완성하고 이미지의 공간 안으로 들어가는 상상을 반복했다. 그리고 각자가 개인의 시점에서 공간 속 장면을 질문하고 규정했다.

랜더된 동영상은 한 장의 스틸컷 이면에 자리 잡은 복잡성과 깊이감, 독해할 수 없는 자율적 형태 논리를 엿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이미지의 스펙타클은 예측불가능한 방식으로 확장하고 변형한다.




© Studio SMA All rights reserved
info@studiosma.work